즐기자!!/플랜트...엔지니어
압출법 보온판 / 비드법 보온판 차이
ARCHENEER
2024. 6. 13. 13:19
반응형
1. 압출법 보온판/ 비드법 보온판 차이
비교 기준 | 압출법 보온판 (XPS) | 비드법 보온판 (EPS) |
대표 제품 | 아이소핑크, 핑크보드 | 스티로폼 |
재료 | 폴리스티렌을 고온에서 압출하여 발포 | 작은 구슬 모양의 폴리스티렌을 팽창시켜 발포 |
제조 방식 | 고온, 고압으로 폴리스티렌 수지 압출 | 수증기를 이용해 폴리스티렌 비드 발포 |
밀도 | 높음 (30~45 kg/m³) | 낮음 (10~25 kg/m³) |
열전도율 | 낮음 (0.027~0.034 W/mK) 비드법 보다 낮음 |
낮음 (0.033~0.039 W/mK) 압출법 보다 높음 |
강도 | 높음 | 낮음 |
흡수율 | 낮음 | 높음 |
내구성 | 높음 | 낮음 |
두께 | 얇음 | 압출법 보다 두꺼움 |
가격 | 비쌈 | 저렴 |
시공 편의성 | 다소 어려움 | 쉬움 |
사용 장소 | 지하층 외벽, 바닥, 옥상4 | 외벽/내벽/바닥 등 전천후2 |
2. 압출법 보온판 적용 장소
(출처, 성심산업)
압출법 보온판은 습기에 강하고 열전도율이 낮아서 주로 바닥 단열에 사용되며,
특히 지하층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 적합합니다.
비드법 보온판은 가볍고 가공이 쉬워 천장이나 바닥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됩니다.
압출법 보온판은 습기에 강해 바닥 단열재로 적합하며, 특히 습기가 많은 지하층 외벽이나 옥상에 주로 사용됩니다.
반면, 비드법 보온판은 가볍고 가공이 쉬워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율이 높아 물이 닿는 부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비드법 보온판은 열에 약하므로 열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는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3. 비드법 보온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