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공부쟁이

에폭시수지/ 건축구조물용 내화도료 (KCC 자료)/ 내화페인트 본문

즐기자!!/플랜트...엔지니어

에폭시수지/ 건축구조물용 내화도료 (KCC 자료)/ 내화페인트

ARCHENEER 2021. 1. 27. 15:22
반응형

1. 에폭시란?

에폭시(epoxy) 또는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드의 구어체 이름이다.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물과 날씨 변화에 잘 견디고, 빨리 굳으며, 접착력이 강하다.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물질로,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이다. 
접착제, 코팅, 페인트용제, 전자회로기판 등의 용도로 널리 쓰이며, 경화제를 첨가해야만 열경화성이 발현된다.
일반적으로 아민계 경화제가 쓰이며, 에폭시와 아민이 화학작용을 일으켜서 경화반응을 일으킨다.
그 외에도 아마이드계 경화제나 산무수물계 경화제도 쓰이며,
다양한 경화제로 물성이나 경화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열경화성 플라스틱]
열경화성 플라스틱(영어: thermosetting plastic, thermosetting polymer, thermoset)은
열을 가하면 열가소성 플라스틱처럼 녹지 않고,
타서 가루가 되거나 기체를 발생시키는 플라스틱이다. 따라서 한번 굳어지면 다시 녹지 않는다.
에폭시는 기계적인 강도·내수성·전기적 특성 등이 뛰어나지만,
그 밖에 경화할 때 줄지 않는 것과 접착성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주형품(注型品)이나 적층판(積層板)으로, 또한 접착제로 쓰이고 있다.

2. 에폭시의 장점, 단점

[장점]

열경화성 수지답게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경화 과정에서 휘발물이 발생하지 않을 뿐더러 금속이나 석재, 목재, 유리, 플라스틱 등
접착 대상을 가리지 않으며, 성질이 다른 물질간의 접착이 가능하다.

또한 경화제를 혼합하지 않는 한 조건에 관계없이 장기간의 보관이 가능하다.

에폭시수지는 내열성, 전기절연성, 접착성 등의 경화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성형이 용이하다

수지 및 경화제와 함께 많은 종류가 있고 다양한 요구에 대응이 가능한 수지

도료나 접착제, 전자부품의 전기절연재로서 봉지재나 적층판 등의 중요 원료

에폭시수지는 고성능, 고기능성의 특수 에폭시수지가 될 것이다.
전자부품이나 차 적재 등의 용도로 고열전도성, 고내열성 에폭시수지 개발이 활발하게 연구중이다.

일본, 중국 등을 비롯한 각국에서는 지구 온난화, 에너지 절약 등의 대책으로
열방사를 이용한 투명성 방열도료, 태양광 등을 커트하는 유리 투명성 차열코팅제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전자, 자동차 부분품 등에 다양한 용도로 특수 고열전도성, 내열성 에폭시수지 등이 개발되고 있다.
[단점]
황변 현상이 일어나며, 경화시간이 길다.
또한 결정성 폴리머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아크릴에는 잘 붙지 않는다.

에폭시수지는 열가소성수지와 비교하면 취약하다는 결점
[황변이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물건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노란 빛으로 변하는 현상.

3. MSDS (물질안전보건자료) - 금호피앤비 자료

[법적 규제]

4. 내화 도료 (KCC 페인트)

[합성구조물용 내화도료]

[건축용 내화도료]

[철골구조물용 내화도료]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