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공부쟁이

공매도란? 본문

공부하자!!/파이프라인 찾기 공부하기

공매도란?

ARCHENEER 2021. 1. 13. 12:07
반응형

1. 공매도(渡/ short stock selling) 란?

주가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미리 빌려서 팔고, 
주가가 내려가면 싼 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

흔히 싸게 산 다음 비싸게 팔아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공매도는 매수 후 매도하는 일반 거래와 다르게 거래의 순서를 바꿔서

우선 비싸게 팔고 나중에 싸게 사서 갚는 방식으로 수익을 낸다.
쉽게 말하자면 가격이 떨어지면 돈을 따는 것이다.

즉, 매도 후 매수다

[공매도 거래 과정]
1. A라는 주식의 가격이 50만원인데 내려갈 것 같으니까 A 주식을 빌려서 판다. (이때 현금이 50만원)

2. 이후 A 주식 가격이 40만원으로 하락했을때 A 주식을 산다. (이때 현금이 10만원 + A주식)

3. 마지막으로 빌린 A주식을 갚는다.

4. 이렇게 되면 최종적으로 현금은 +10만원이 되는 것  

2. 공매도 장점

1. 주식시장의 효율성이 늘어난다.
주식의 가격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균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주식을 사는 데는 아무런 제약이 없으므로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믿는 투자자의 의견은
아무런 장애없이 시장에 반영된다.
그런데 만약 공매도가 불가능하다면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믿는 투자자의 의견은 제대로 반영되기 힘들다.
왜냐하면 이 경우 주식을 파는 것이 가능한 사람은 기존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 믿는 사람들은 이미 그 주식을 팔았을 것이며,
공매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주식을 소유 하지 않은 투자가들은 그 주식이 현저하게 고평가 되었거나 사업전망이 나쁘다는 생각을 하여도 이를 주가에 반영시킬 방법이 없다.
따라서 공매도가 없는 시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주식 가격이 본래 가치보다 고평가 받는 버블이 형성된다.
당장은 피해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런 버블은 언젠가 꺼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돈이 생산적인 곳에 쓰이지 못하는 기회비용과 폭탄돌리기의 막차를 탄 사람들의 고통이 야기된다.
공짜 점심은 없다
공매도는 이러한 가격 거품 발생을 방지하여 주가를 실제 가치에 수렴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참고로 그 유명한 효율적 시장 가설의 핵심 전제 중 하나가 공매도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시장은 효율적일 수 없다.

2. 주식시장의 유동성이 높아진다.
거래가 쉽게 일어날수록 유동성은 높아진다.
좀 전의 예시처럼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주식의 대부분을 보유한 상황에서,
만약 공매도가 없다면 매수자가 매도자에 비해 훨씬 많아 거래가 성사되기 어렵고 따라서 유동성도 낮아진다.
공매도는 일반적 거래와 달리 선매도 후매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도 의견을 반영하기 쉽고
그와 동시에 거래 성사 가능성, 즉 유동성도 높아진다.

3.가격의 연속성에 도움이 된다.
가격의 연속성이란 주식의 가격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고 조금씩 변한다는 것이다.
거래가 자주 일어나고 그만큼 유동성이 늘어나면서 정보의 반영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4.공매도는 현재 회사의 방향에 대해 객관적인 입장에서 부정적인 의견을 낼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이는 곧 이사회 및 경영자에게 책임 있는 경영을 하도록 만드는 방법이 된다.
공매도를 통해 회사의 부정적 경영방침을 이슈화시키고,
그로 인해 회사는 주가 및 대출조건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공매도를 적극 활용하는 펀드가 존재하면 시장이 건전해진다.
실제로 엔론의 분식회계 의혹을 가장 먼저 제기한것은 헤지펀드였고,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당시 리먼 브라더스나 베어 스턴스의 부실의혹을 가장 먼저 제기한 것도 공매도 투자자들이었다. 또한 루이싱 커피의 회계조작을 헤지펀드가 밝힌 사례도 있다.
링크공공기관인 증권위원회의 건전성규제는 한계가 있는데(직원들이 공무원이라 부실을 잡아내는 인센티브가 부족) 위와 같은 사례 처럼 이것을 공매 투자가들이 메꿔줄 수 있다는 이야기다.

5.위험의 헤징(hedging)에 도움을 준다.
공매도는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적정 비율의 공매도를 섞는 것으로 수익의 방향과 변동성을 조절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공매도는 선물 매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3. 공매도 단점

주식을 빌리는 과정이 포함되는 만큼, 채무불이행 리스크가 있다.
미리 공매도를 쳐놓고 나쁜 소문이나 실제 불리한 사실을 차후에 유포한다면 수익을 낼 수 있어 도덕적 문제가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물론 미리 매수한 후 차후에 좋은 소식이 있다고 정보를 흘리는 것도 시세조종이므로 단순히 선거래 후정보공개 부분만 봐서는 공매도가 나쁘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두 가지 문제가 있는데,
첫째는 심리적으로 사람들은 나쁜 소식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둘째로 무언가 가치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것보다는 가치있는 것을 파괴하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이다.
간단히 예를 들어, 암 치료제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만 폭탄테러를 일으키는 것은 쉽다.

해당 자산에 비관적인 의견을 반영하기 때문에
공매도가 많이 일어나는 기업의 경영자는 안 좋은 평가를 받게 된다.
보통 이것은 오히려 장점이지만 공매도가 부정확한 루머에 근거한 것일 경우 경영자가 경영에 쏟아야 할 노력을 주가 방어 등에 낭비하게 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2012년 셀트리온에 대한 부정적 루머가 있었는데,
중국 임상시험 과정에서 2명의 사상자가 나왔다는 내용이었다.
이 허위 뉴스로 3일간 10만 주 이상의 공매도가 발생하여 셀트리온 주가는 52주 최저가를 기록하였다.
해외로 가도 별 차이는 없는지 일론 머스크의 경우 테슬라의 머천다이즈를 파는 사이트에 짧은 반바지(Short short)가 곧 올라갈 것이라고 트윗을 날리는 등 간접적으로 공매도 세력을 꾸준히 조롱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론적/실증적으로는 좋은 내용이 많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제도 자체가 잘 정비되고 유지/감시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개인투자자의 주식이 자기도 모르게 대여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현재는 명확하게 본인동의절차를 거치고 있다고 함) 참고로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태는 공매도와 무관하며 전산상 입력 실수로 인한 금융사고이지만... 비공식적(=불법적) 공매도가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있었다고 가정하면 사건을 이해하기가 상당히 쉬워진다.

반응형
Comments